공매도 순기능 및 역기능, 대처 방법
오늘은 요즘 뜨거운 핫감자로 떠오른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정부는 5월 3일부터 공매도를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많은 개미투자가들이 공매도 재개에 대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공매도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그리고 공매도에 대한 개미투자가들의 대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공매도란?
2. 공매도 순기능
3. 공매도 역기능
4. 개인투자가들의 대처 방법
1. 공매도란?
공매도란 문자 그대로 없는 것을 매도한다는 뜻입니다. 즉, 현재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 없으나 있는 것처럼 주식시장에서 매도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없는 주식을 어떻게 매도할 수 있을까요? 내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기관으로부터 매도하고 싶은 주식을 빌려서 우선 매도하고 그 주식의 주가가 떨어지면 저렴한 값에 매입해서 빌린 주식을 갚는 제도를 말합니다.
그럼 왜 기관들이나 외국투자가들이 공매도를 실행할까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어떤 기업의 주식이 고평가 되어있어, 조만간 그 기업 주식의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시다. 그런데 내가 현재 그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연기금 등과 같은 기관에서 그 주식을 빌릴 수 있습니다. 그럼 그 주식을 1,000주 빌려서 1주당 현재가 10,000원에 매도했다고 가정하지요.
그리고 얼마 후에 그 주식의 주가가 1주당 5,000원으로 하락했다고 하지요. 그럼 그때에 그 주식 1,000주를 1주당 5,000원에 매입합니다. 그리고 빌렸던 1,000주를 갚습니다. 그럼 단순 계산하면, 1주당 수익 5,000에 1,000주이므로 500백만 원 수익을 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관들이나 외국투자가들이 공매도를 실행하는 것이지요.
공매도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차입공매도와 무차입공매도입니다. 차입공매도는 기관으로부터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차입 공매도는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을 빌리지 않고 매도하는 것입니다. 즉,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데, 있는 것처럼 하고 매도하는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무차입 공매도는 불법입니다.
2. 공매도 순기능 (공매도 도입 목적)
이제 공매도의 순기능 내지는 공매도 제도의 도입 목적(필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공매도 제도의 도입 목적은 주식의 거품을 제거하여 적정한 가격으로 주식이 매매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어떤 회사에 큰 문제가 발생했다고 가정하지요. 큰 문제란 생산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경쟁사에 품질이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회사의 자금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요. 그런데 일반인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대중매체가 보도하지 않으면 알기가 어렵지요.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그 회사의 주식 가격이 하락해야 정상입니다. 그런데 그 회사는 주가가 떨어질까봐 이런 문제점들을 숨기고 버틸 수 있습니다. 이때에 기관에서 공매도를 통해 그 회사 주식을 매도하여 거품을 제거할 수가 있는 것이지요. 이런 기능이 공매도의 순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공매도 역기능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매도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기관들이나 외국투자가들이 현재 불법인 무차입 공매도를 실행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했지만,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을 다른 기관에서 빌리지 않고 없는 주식을 있는 것처럼 매도하는 것이지요. 왜 그럴까요? 잘 아시겠지만, 우리나라 법이 약하다는 것이지요. 즉, 불법을 행해도 과태료 정도 조금 받으면 되니까요. 예를 들면, 기관이 무차입 공매도를 실행해서 100억의 수익을 벌었다면, 과태료가 30억 정도밖에 안 되는 것이지요. 과태료를 부과하더라도 70억의 수익을 벌 수 있는 것이지요.
또 하나의 문제점은 개인투자가들은 공매도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제도상으로는 개인투자가들도 기관으로부터 매도하고자 하는 주식을 빌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관들은 개인에게 주식을 빌려주지 않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 제도를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하며 비난하는 것입니다.
4. 개인투자가들의 대처 방법
얼마 전 미국에서 공매도와 관련하여 헤지펀드와 개인투자가들 사이에 한차례 전쟁이 벌어졌지요. 바로 미국의 추억의 게임기 판매회사인 게임스탑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게임스탑은 온라인 게임 판매 회사들이 성장함과 동시에 경쟁력을 잃어버려 서서히 하락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던 헤지펀드들은 게임스탑의 주가를 더 빠르게 하락시키기 위해서 공매도를 실행했습니다.
그런데 너무 의도적으로 공매도를 대규모 실행하다 보니 추억의 게임기 회사인 게임스탑에 대한 개인투자가들의 보호 심리 내지는 헤지펀드들에 대한 분노가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개인투자가들이 게임스탑 주식을 매입해서 매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게임스탑의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던 주가가 오히려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월가가 한 때 술렁거렸던 것입니다. 결국은 정부가 개입해서 게임스탑 주가가 하락하고는 있지요.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개인투자가들이 이런 기관들의 공매도 실행으로 인해 손해보기가 쉽습니다. 회사의 전망이나 상태가 건실하지 않으면, 기관들의 공매도 공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개인투자가들은 일단 회사의 규모가 비교적 적거나, 취약한 부분이 있으면, 그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비교적 규모가 크고 건실하며 전망이 좋은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공매도가 실행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단기로 자금을 차입해서 투자할 경우, 장기적인 주식 보유가 어렵기 때문에 공매도가 실행되면 큰 손실을 당할 수 있다는 점 명심해야겠습니다. 그래서 가장 현명한 투자는 남는 여유자금으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주식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공매도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1/26 - [분류 전체보기] - 직업 연봉 순위 (2020년)